2. 중세의 정의 및 특징 – — 중세 시대에 대한 이해와 재해석 (노튼 영문학 the Norton Anthology 번역)




2. 중세의 정의 및 특징

 

1. 중세 시대의 시간적 범위와 어원: → The Middle Ages: 정의와 ‘medieval’의 어원

The Middle Ages designates the time span roughly from the collapse of the Roman Empire to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The adjective “medieval,” coined from Latin medium (middle) and aevum (age), refers to whatever was made, written, or thought during the Middles Ages.

**중세(Middle Ages)**란, 일반적으로 로마 제국의 몰락부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중세(medieval)’라는 형용사는 라틴어 medium (중간)과 aevum (시대)에서 파생된 말로, 중세 동안 만들어지거나 쓰이거나 사유된 모든 것을 일컫는다.

2.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중세 이후 시대의 전환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중세를 넘어선 전환점들

The Renaissance was so named by nineteenth-century historians and critics because they associated it with an outburst of creativity attributed to a “rebirth” or revival of Latin and especially, of Greek learning and literature.

‘르네상스(Renaissance)’라는 명칭은 19세기 역사가들과 비평가들이 붙인 이름으로, 라틴어와 특히 그리스 고전 학문과 문학의 부활에 따른 창조성의 폭발을 의미하며, 일종의 ‘재탄생’ 또는 부흥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The word “reformation” designates the powerful religious movement that began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nd repudiated the supreme authorit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Renaissance was seen as spreading from Italy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to the rest of Europe, whereas the Reformation began in Germany and quickly affected all of Europe to a greater or lesser degree.

한편 ‘종교개혁(Reformation)’은 16세기 초에 시작되어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권위를 거부한 강력한 종교 운동을 뜻한다. 르네상스는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이해되며, 종교개혁은 독일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다.

3. ‘재탄생’이라는 개념이 내포한 의미

What Does “Rebirth” Imply? : 르네상스라는 이름이 중세를 정의하는 방식

The very idea of a Renaissance or rebirth, however, implies something dormant or lacking in the preceding era.

하지만 ‘르네상스(재탄생)’라는 개념 자체는, 그 이전 시대가 무언가 정체되어 있거나 결핍되어 있었다는 전제를 내포한다. 최근에는 중세와 그 이후 시대에 대한 이해 방식이 두 가지 경향으로 나뉜다.

4. 중세에 대한 현대적 이해: 두 가지 접근

Two Modern Perspectives: 연속성 강조 vs. 중세의 창조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two non-exclusive tendencie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medieval period and what follows. Some scholars emphasize the continuities between the Middle Ages and the later time now often called the Early Modern Period. Others emphasize the ways in which sixteenth-century writers in some sense “created” the Middle Ages, in order to highlight what they saw as the brilliance of their own time.

좀 더 최근에 들어서는 중세 시대와 그 이후를 바라보는 이해 방식에 있어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두 가지 경향이 생겨났다.

첫 번째는 중세와 이후 시대(오늘날 흔히 ‘초기 근대’라 불리는 시기)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두 번째는 16세기 작가들이 일정한 의미에서 ‘중세’를 창조해냈다고 보는 시각인데, 이는 그들이 스스로의 시대를 더욱 빛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5. 중세인의 자의식과 중세의 문화적 성취

Medieval Self-Perception and Achievements in Art, Literature, and Science

Medieval authors, of course, did not think of themselves as living in the “middle”; they sometimes expressed the idea that the world was growing old and that theirs was a declining age, close to the end of time. Yet art, literature, and science flourished during the Middle Ages, rooted in the Christian culture that preserved, transmitted, and transformed classical tradition.

물론 중세의 작가들 자신은 자신들이 “중간 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세상이 점점 늙어가고 있으며, 자신들의 시대는 세상의 종말에 가까운, 쇠퇴기의 시대라는 인식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 문학, 과학은 중세 동안 찬란히 꽃을 피웠다.

이러한 중세의 문화적 성취는 고전적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하며,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 기독교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1. 노튼 영문학 – 중세 영문학 연혁 (enko.co.kr)

3. 노튼 영문학 – 앵글로색슨 – 앵글로노르만 – 중세 영문학 개관 (enko.co.kr)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