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중세 수도원의 역할 : 출판
📌 중세의 책 제작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Book production throughout the medieval period was an expensive process. Until the invention of movable type in the mid-fifteenth century (introduced into England by Caxton in 1476), medieval books were reproduced by hand in manuscript (literally “written by hand”).
중세 시대 전반에 걸쳐 책을 만드는 일은 매우 고비용의 작업이었다. 15세기 중반 가동 활자가 발명되기 전까지(1476년에 윌리엄 캑스턴이 이를 영국에 도입함), 책은 모두 수작업으로 필사되었다. ‘필사(manuscript)’라는 말 자체가 문자 그대로 ‘손으로 쓰인 것’을 뜻한다.
While paper became increasingly common for less expensive manuscripts in the fifteenth century, manuscripts were until then written on carefully prepared animal (usually calf or sheep) skin, known as parchment or vellum. More expensive books could be illuminated both by colored and calligraphic lettering and by visual images.
15세기에 이르러 비교적 저렴한 필사용 종이가 보급되기 시작했지만, 그 이전에는 주로 양이나 송아지 가죽을 정성스럽게 다듬어 만든 양피지(parchment 또는 vellum)에 글을 썼다. 고급 책의 경우에는 채색한 글씨나 서예체 장식, 삽화 등을 넣어 아름답게 꾸미기도 했다.
🏛 중세 주도원의 역할 – 수도원에서 상업적 책 제작소로
The institutions of book production developed across the period. In the Anglo-Saxon period, monasteries were the main centers of book production and storage. Until their dissolution in the 1530s, monastic and other religious houses continued to produce books, but from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particularly in London, commercial book-making enterprises came into being.
책을 생산하는 기관들도 시대에 따라 발전해 나갔다. 초기 앵글로색슨 시대에는 수도원이 책을 만들고 보관하는 중심지였다. 1530년대 수도원 해체 시기까지 수도원과 종교 기관들은 계속해서 책을 제작했지만, 14세기 초부터는 특히 런던을 중심으로 상업적인 책 제작 공방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These were loose organizations of various artisans such as parchment makers, scribes, flourishers, illuminators, and binders, who usually lived in the same neighborhoods in towns.
이러한 공방은 필사자, 양피지 제작자, 장식가(flourisher), 삽화가(illuminator), 제본가 등 다양한 장인의 느슨한 협업 구조로 운영되었고, 이들은 대개 같은 지역에 거주하며 함께 작업했다.
A bookseller or dealer (usually a member of one of these trades) would coordinate the production of books to order for wealthy patrons, sometimes distributing the work of copying to different scribes, who would be responsible for different gatherings, or quires, of the same book. Such shops could call upon the services of professional scribes working in the bureaucracies of the royal court.
책 상인이나 유통업자는 (대부분 이 장인 조직의 일원이며) 부유한 후원자의 주문에 따라 책 제작을 조율했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책을 여러 필사자에게 분배하여 각기 다른 장(quire)을 책임지게 하는 방식도 있었다. 왕실 관료조직에 속한 전문 필사자들에게 작업을 의뢰하는 경우도 있었다.
💰 수요의 변화와 다양한 책의 형태
The market for books also changed across the period while monasteries, other religious houses, and royal courts continued to fund the production of books, from the Anglo-Norman period books were also produced for (and sometimes by) noble and gentry household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the market was widened yet further, with wealthy urban patrons also ordering books.
중세 동안 책을 주문하고 후원하는 주체에도 변화가 생겼다. 수도원, 종교 기관, 왕궁은 계속해서 책 제작을 지원했지만, 앵글로노르만 시기에는 귀족과 젠트리 계급의 가문들도 책을 주문하거나 직접 제작했다.
14세기에 들어서면서 부유한 도시 상류층들도 책을 주문하며 시장이 더욱 확대되었다.
Some of these books were dedicated to single works, some largely to single genres; most were much more miscellaneous, containing texts of many kinds and (particularly in the Anglo-Norman period) written in different languages (especially Latin, French, and English). Only a small proportion of medieval books survive’ large numbers were destroyed at the time of the 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in the 1530s.
이들 책 중 일부는 한 작품이나 하나의 장르에 집중했지만, 대부분은 다양한 장르와 내용을 담고 있었다. 특히 앵글로노르만 시기에는 라틴어, 프랑스어, 영어 등 여러 언어로 된 텍스트가 함께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 중세의 책들 중 살아남은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1530년대 수도원이 해체되던 시기에 수많은 책들이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 중세 텍스트의 독서와 활용 방식
📖 번역과 원문 읽기
Texts in Old English, Early Middle English, the more difficult texts in later Middle English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Piers Plowman), and those in other languages are given in translation.
고대 영어, 초기 중세 영어, 그리고 후기 중세 영어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작품들(예: 『가웨인과 녹색 기사』, 『농부 피어스의 이야기』) 및 기타 언어로 쓰인 작품들은 모두 현대 번역되어 제공된다.
Chaucer and other Middle English works may be read in the original, even by the beginner, with the help of marginal glosses and notes. These texts have been spelled in a way that is intended to aid the reader. Analyses of the sounds and grammar of Middle English and of Old and Middle English prosody are presented on pages 15-21.
하지만 제프리 초서와 기타 중세 영어 작품들은, 최소한의 주석과 해설이 있다면 초보자도 원문을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 실린 중세 영어 텍스트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철자 체계를 따르고 있다.
중세 영어 및 고대 영어의 음운 체계와 문법, 그리고 운율(시의 리듬과 구조)에 대한 분석은 책(The Norton Anthology) 15~21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 부분은 중세 문학의 원문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3. 노튼 영문학 – 앵글로색슨 – 앵글로노르만 – 중세 영문학 개관 (enk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