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튼 영문학 I: 중세 영어 문학의 시작과 전개 – 중세 영문학 개관
📚 중세 영어 문학의 시작과 전개
1. 중세 영문학의 범위와 시대 구분
The works covered in this section of the anthology encompass a period of more than eight hundred years, from Caedmon’s Hymn at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to Everyman at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The date 1485, the year of the accession of Henry VII and the beginning of the Tudor dynasty, is an arbitrary but convenient one to mark the “end” of the Middle Ages in England.
이 장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7세기 말경 케드몬(Caedmon)의 「찬가(Hymn)」에서부터 16세기 초반의 「에브리맨(Everyman)」에 이르기까지 800년이 넘는 기간을 아우른다. 중세 영문학의 ‘종언’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자주 사용되는 1485년은 헨리 7세가 즉위하며 튜더 왕조가 시작된 해로, 자의적이긴 하나 매우 편리한 시점이다.
2. 격변 속에서도 이어진 전통
Although the Roman Catholic Church provided continuity, the period was one of enormous historical, social, and linguistic change. To emphasize these changes and the events underlying them, we have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primary sections: Anglo-Saxon Literature, Anglo-Norman Literature, and Middle English Literature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로마 가톨릭 교회가 일정한 연속성을 제공하긴 했지만, 이 시기는 역사적·사회적·언어적으로 엄청난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를 강조하고 그 이면의 사건들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이 시대를 다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앵글로색슨 문학
-
앵글로-노르만 문학
-
14세기 및 15세기의 중세 영어 문학
3. 앵글로색슨 문학과 고대 영어
The Anglo-Saxon invaders, who began their conquest of the southeastern part of Britain around 450, spoke an early form of the language we now call Old English. Old English displays its kinship with other Germanic languages (German or Dutch, for example) much more clearly than does contemporary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of which Old English is the ancestor.
앵글로색슨족은 약 450년경부터 브리튼 섬 남동부를 정복하기 시작했으며, 지금 우리가 ‘고대 영어’라 부르는 초기 영어 형태를 사용했다. 고대 영어는 현대의 영국식 또는 미국식 영어보다는 독일어나 네덜란드어 같은 다른 게르만계 언어들과 더 밀접한 유사성을 보인다.
As late as the tenth century, part of an Old Saxon poem written on the Continent was transcribed and transliterated into the West Saxon dialect of Old English without presenting problems to its English readers. In form and content Old English literature also has much in common with other Germanic literatures with which it shared a body of heroic as well as Christian stories. The major characters in Beowulf are pagan Danes and Geats, and the only connection to England is an obscure allusion to the ancestor of one of the kings of the Angles.
실제로 10세기 무렵, 대륙에서 쓰인 고대 색슨어 시가 일부 웨스트색슨 방언의 고대 영어로 필사되어도 당시의 영국 독자들이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었다.
내용 면에서도 고대 영어 문학은 다른 게르만계 문학과 많은 공통점을 지녔으며, 영웅적인 이야기와 그리스도교적 주제를 함께 공유하였다. 예를 들어, 「베어울프(Beowulf)」의 주요 인물은 이교도였던 데인족(Danes)과 기트족(Geats)이며, 영국과의 관련성은 앵글족 왕의 조상에 대한 희미한 언급 정도에 불과하다.
🏰 노르만 정복과 언어·문학의 변화
4. 노르만 정복과 언어적 전환
The changes already in progress i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Anglo-Saxon England were greatly accelerated by the Norman Conquest of 1066. The ascendancy of a French-speaking ruling class had the effect of adding a vast number of French loan words to the English vocabulary. The conquest resulted in new forms of political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architecture, and literary expression.
앵글로색슨 시기의 변화는 1066년의 노르만 정복으로 인해 훨씬 더 가속화되었다.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배계층의 등장으로 영어 어휘에 방대한 수의 프랑스어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이는 정치조직, 행정, 건축, 문학 표현 등 다양한 영역에 새로운 양식을 불러왔다.
In the twelfth century, through the interest of the Anglo-Normans in British history before the Anglo-Saxon Conquest, not only England but all of Western Europe became fascinated with a legendary hero named Arthur who makes his earliest appearances in Celtic literature. King Arthur and his knights became a staple subject of medieval French, English and German literature.
12세기에 이르러, 앵글로노르만인들은 앵글로색슨 이전의 영국 역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역이 ‘아서왕(King Arthur)’이라는 전설적 인물에 매료되었다. 아서는 원래 켈트 문학에 등장했던 인물이다. 이후 아서왕과 기사들은 프랑스, 영국, 독일 중세 문학의 핵심 주제로 자리잡는다.
Selections from Latin, French and Old Irish as well as from Early Middle English have been included here to give a sense of the cross-currents of languages and literatures in Anglo-Norman England and to provide background for later English literature in all periods.
라틴어, 프랑스어, 고대 아일랜드어뿐만 아니라 초기 중세 영어 작품들까지 선별하여 수록한 이유는, 앵글로-노르만 시기의 영국에서 다양한 언어와 문학이 서로 뒤섞이며 교류했던 양상을 보여주기 위함이며, 동시에 이후 모든 시기의 영어 문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배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 영어 문학의 정체성과 자각의 시작
6. 민족 정체성과 영어의 부상
Literature in English was performed orally and written throughout the Middle Ages, but the awareness of and pride in a uniquely English literature does not actually exist before the late fourteenth century. In 1336 Edward III began a war to enforce his claims to the throne of France; the war continued intermittently for one hundred years until finally the English were driven from all their French territories except for the port of Calais.
중세 전 기간 동안 영어 문학은 구전되기도 하고 글로도 쓰였지만, ‘영문학’이라는 독자적인 문학 전통에 대한 자각과 자부심은 14세기 말 이전까지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 1336년,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왕위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며 전쟁을 일으켰고, 이 전쟁은 간헐적으로 무려 100년 동안 이어졌다. 결국, 영국은 칼레(Calais) 항구를 제외한 모든 프랑스 내 영토에서 축출되며 전쟁은 막을 내렸다.
One result of the war and these losses was a keener sense on the part of England’s nobility of their English heritage and identity. Toward the close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ish finally began to displace French as the language for conducting business in Parliament and much official correspondence.
이 백년전쟁과 그 패배로 얻은 결과 중 하나는, 영국 귀족들이 영국적 유산과 정체성에 대해 더욱 뼈저리게 인식하게 됐다는 점이다. 그래서, 14세기 말, 마침내 영어가 프랑스어를 대체하여 의회 업무와 많은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Although the high nobility continued to speak French by preference, they were certainly bilingual, whereas some of the earlier Norman kings had known no English at all. It was becoming possible to obtain patronage for literary achievement in English. The decision of Chaucer (d. 1400) to emulate French and Italian poetry in his own vernacular is an indication of the change taking place in the status of English, and Chaucer’s works were greatly to enhance the prestige of English as a vehicle for literature of high ambition.
물론 귀족들은 우선적으로 프랑스어를 계속 사용했지만, 영어를 전혀 몰랐던 초기의 일부 노르만 왕족과 달리, 이들은 확실히 영어를 함께 구사하였다. 영어로 된 문학 작품에 대한 후원이 가능해진 것도 이 때부터였다. 초서(1400년경 사망)가 프랑스와 이탈리아 시를 자신의 모국어로 모방하기로 한 결정은, 영어의 위상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였다. 그리고 초서의 작품들은 영어가 ‘높은 이상과 품격을 지닌 문학’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로서의 위신을 크게 끌어올리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초서와 영어 문학의 권위
He was acclaimed by fifteenth-century poets as the embellisher of the English tongue; later writers called him the English Homer and the father of English poetry. His friend John Gower (133o? – 1408) wrote long poems in French and Latin before producing his last major work, the Confession Amantis (The Lover’s Confession), which in spite of its Latin title is composed in English.
15세기 시인들은 초서를 영어의 장식자(embellisher)로 칭송했고, 후대의 작가들은 그를 영국의 호머(English Homer)이자 영시의 아버지로 불렀다. 그의 친구 존 고어(133o? – 1408)는 원래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장편 시를 썼지만, 최후의 걸작인 [연인의 고백 The Confession Amantis (The Lover’s Confession)은 영어로 썼다. (물론 제목은 라틴어로 쓰여 있다.)
✍️ 결론: 영어의 문학적 도약
8. 영어 문학의 새 위상
The third and longest of the three primary sections, Middle English Literature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is thus not only a chronological and linguistic division but implies a new sense of English as a literary medium that could compete with French and Latin in elegance and seriousness.
따라서 이 세 개의 시대 (앵글로색슨, 앵글로노르만, 중세) 중 가장 긴 중세시기(14세기-15세기)의 영문학은,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연대적, 언어적으로 구분이 됐을 뿐 아니라, 우아함과 진지함에 있어서도 프랑스와 라틴 문학에 대적할 수 있는 문학 매체로서 새로운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4. 노튼 영문학 – 중세 수도원의 역할 : 출판 (enk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