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영문학 – 노튼 영문학 (The Norton Anthology)I 요약

🏰 14세기 영문학 – 노튼 영문학 (The Norton Anthology)I 요약  – Norton Anthology I: 14th-Century English Literature

War, Plague, Chaucer, Langland, and the Emergence of a Woman Writer
노튼 영문학 I: 14세기 영문학 – 전쟁, 흑사병, 초서, 랭랜드, 여성 작가의 등장


📘 The Rise of English Literary Language

영어 문학의 성장: 구어에서 문어로

EN: By the 14th century, although French remained dominant in law and government, English began flourishing in literature. Works like The Owl and the Nightingale and Ancrene Riwle show that refined poetry and prose were already being written in English. Writers created religious and didactic works in English for those who couldn’t read Latin or French.

KR: 14세기에는 비록 프랑스어가 여전히 법과 정치의 지배 언어였지만, 영어는 문학 영역에서 점차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부엉이와 나이팅게일』, 『앵커라의 규범』 등은 세련된 문체의 영어 문학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 War, Plague, and Social Upheaval

전쟁과 흑사병, 그리고 사회적 격변

EN: The Black Death of 1348 wiped out up to one-third of Europe’s population. Social unrest followed, leading to the Peasants’ Revolt of 1381. This was fueled by labor shortages and rising resentment toward oppressive taxes and church wealth.

KR: 1348년의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1/3을 사망하게 했고, 이어진 노동력 부족과 과세 불만은 1381년 농민 봉기로 이어졌다. 교회의 부와 권력은 민중의 분노를 키웠다.


🏙 Urban Autonomy and the Rise of Capital

도시 자치와 자본주의의 맹아

EN: Despite disasters, international trade thrived. Chaucer’s portrayal of a merchant shows early signs of capitalism based on credit and profit. Cities like London managed themselves under powerful mayors, and a new administrative class emerged from the educated laity.

KR: 전염병과 반란에도 불구하고 무역은 활발했고, 초서의 상인 묘사에서 자본주의의 맹아가 보인다. 정치적 자치와 교육받은 평신도 계층의 행정 참여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 The Rise of Intellectuals and Literary Prestige

지식인의 부상과 문학의 위상 변화

EN: Writers like Dante, Petrarch, and Boccaccio gained honor once reserved for ancient authors. Chaucer read their works and incorporated their themes, though he remained somewhat ironic about the idea of literary greatness.

KR: 단테, 페트라르카, 보카치오 같은 작가들이 고대 작가들에 버금가는 명성을 얻었다. 초서는 이들의 영향을 받았으나, 위대한 문학에 대한 아이러니한 시선도 함께 지녔다.


🧑‍🌾 Langland and Piers Plowman

윌리엄 랭랜드와 『농부 피어스』

EN: Langland critiqued corruption in both church and state but was not revolutionary. His dream vision Piers Plowman explores the search for salvation and social truth with painful honesty, written in alliterative verse rooted in Anglo-Saxon tradition.

KR: 랭랜드는 급진주의자는 아니었지만, 교회와 국가의 부패를 강하게 비판했다. 『농부 피어스』는 구원의 길을 진지하게 탐구한 작품으로, 앵글로색슨 전통의 두운체로 쓰였다.


🕯 Gower and Confessio Amantis

존 가워와 『연인의 고백』

EN: Gower wrote in French, Latin, and English. His Confessio Amantis (1390), written in English, discusses politics and ethics through the narrative of a love-sick man who finds healing in classical stories.

KR: 가워는 3개 국어로 작품을 썼으며, 『연인의 고백』에서는 고전에 기반한 이야기들을 통해 사랑, 윤리, 정치 문제를 우회적으로 풀어냈다.


🏹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Reinventing Romance

로맨스 장르를 새롭게 해석한 『거웨인 경과 녹색 기사』

EN: This anonymous poet’s masterpiece revisits Arthurian legend with a fresh literary structure, referencing both classical myth and medieval chivalry. The poem plays with the expectations of the romance genre itself.

KR: 『거웨인 경과 녹색 기사』는 전통 로맨스를 새롭게 구성하며 아서 전설, 트로이 신화, 기사도 정신을 융합한 작품이다. 장르에 대한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 Julian of Norwich: A Woman’s Mystical Voice

노리치의 줄리안: 여성 신비가의 목소리

EN: Julian of Norwich, the first known woman to write in English, was an anchoress who recorded her spiritual visions from 1373. Her Revelations of Divine Love combines theological depth with personal devotion in the vernacular.

KR: 노리치의 줄리안은 영어로 글을 남긴 최초의 여성 작가로, 1373년 환시 체험을 『신적 사랑의 계시』로 기록했다. 여성의 언어로 신학적 깊이와 내면의 신앙을 조화롭게 풀어냈다.

노튼 영문학 I: 14세기 영문학 – 전쟁, .. : 네이버블로그

중세 영문학 – 앵글로-노르만 문학(11-13세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