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앵글로색슨 문학 (노튼 영문학 the Norton Anthology 번역)

5. 앵글로색슨 문학 (노튼 영문학 the Norton Anthology 번역)

로마 지배와 브리튼인의 적응

From the first to the fifth century, England was a province of the Roman Empire and was named Britannia after its Celtic-speaking inhabitants, the Britons. The Britons adapted themselves to Roman civilization, of which the ruins survived to impress the poet of The Wanderer, who refers to them as “the old works of giants.”

1세기부터 5세기까지 영국은 로마 제국의 속주였고, 켈트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인 브리튼인(Britons)을 따라 ‘브리타니아(Britannia)’로 불렸다. 브리튼인들은 로마 문명에 적응했고, 그 유적은 훗날 『방랑자(The Wanderer)』의 시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는 그 유적을 “거인의 오래된 작품”이라 표현했다.

게르만족의 침입과 앵글로 색슨의 점령, 영국의 형성

The withdrawal of the Roman legions during the fifth century, in a vain attempt to protect Rome itself from the threat of Germanic conquest, left the island vulnerable to seafaring Germanic invaders.

These belonged primarily to three related tribes, the Angles, the Saxons, and the Jutes. The name English derives from the Angles, and the names of the countries Essex, Sussex, and Wessex refer to the territories occupied by the East, South, and West Saxons.

5세기에 로마군이 게르만족의 위협으로부터 본토를 방어하고자 철수하자, 영국은 항해에 능한 게르만족의 침입에 취약해졌다. 이들은 주로 앵글족(Angles), 색슨족(Saxons), 주트족(Jutes)이라는 세 부족으로, 서로 관련 있는 종족들이었다. ‘잉글리시(English)’라는 말은 앵글족에서 유래하였으며, 에섹스(Essex), 수섹스(Sussex), 웨섹스(Wessex)는 각각 동색슨, 남색슨, 서색슨이 점령한 지역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The Anglo-Saxon occupation was no sudden conquest but extended over decades of fighting against the native Britons. The latter were, finally, largely confined to the mountainous region of Wales, where the modern form of their language is spoken alongside English to this day.

앵글로색슨의 점령은 단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토착 브리튼인들과의 전투를 거친 결과였다. 결국 브리튼인들은 웨일즈의 산악지대로 밀려났고, 현재까지도 그곳에서는 영어와 함께 현대 웨일스어가 사용되고 있다.

The Britons had become Christians in the fourth century after the conversion of Emperor Constantine along with most of the rest of the Roman Empire, but for about 150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the invasion, Christianity was maintained only in the remoter regions where the as yet pagan Anglo-Saxons failed to penetrate.

브리튼인들은 4세기, 콘스탄틴 황제와 로마 제국의 개종과 함께 기독교로 전향했으나, 침략이 시작된 이후 150년 동안 기독교는 이교도 앵글로색슨족이 미치지 못한 외곽 지역에만 남아 있었다.

기독교 전파와 문해력의 부흥

In the year 597, however, a Benedictine monk (afterward St. Augustine of Canterbury) was sent by Pope Gregory as a missionary to King Ethelbert of Kent, the most southerly of the kingdoms into which England was then divided, and about the same time missionaries from Ireland began to preach Christianity in the north. Within 75 years the island was once more predominantly Christian.

그러나 597년, 교황 그레고리 1세는 베네딕트회 수도사였던 아우구스티누스(후일 캔터베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켄트의 왕 에델베르트에게 선교사로 파견했다. 당시 잉글랜드는 여러 왕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켄트는 최남단 왕국 중 하나였다. 동시에 아일랜드에서 온 선교사들도 북부에서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75년 만에 영국은 다시 기독교 국가가 되었다.

Before Christianity there had been no books. The impact of Christianity on literacy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extended written specimen of the Old English (Anglo-Saxon) language is a code of laws promulgated by Ethelbert, the first English Christian King.

기독교 전파 이전에는 책이 존재하지 않았다. 문자 해독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은 곧 문학에도 큰 영향을 끼쳤으며, 고대 영어(앵글로색슨어)로 쓰인 최초의 장문의 문헌은 에델베르트 왕이 반포한 법률집이었다. 그는 잉글랜드 최초의 기독교 왕이었다

중세 초기의 기독교 학자들

In the centuries that followed the conversion, England produced many distinguished churchmen. One of the earliest of these was Bede, whose Latin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which tells the story of the conversion and of the English church, was completed in 731; this remains one of our most important sources of knowledge about the period.

기독교가 전파된 이후 수 세기 동안, 잉글랜드는 많은 저명한 성직자들을 배출했다. 그중 초기 인물로는 베드(Bede)가 있는데, 그는 잉글랜드의 개종과 교회의 역사에 관한 라틴어 저서 『영국민 교회사(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를 731년에 완성했다. 이 저서는 현재까지도 당시 시대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사료 중 하나다.

In the next generation Alcuin (735-804), a man of wide culture, became the friend and adviser of the Frankish emperor Charlemagne, whom he assisted in making the Frankish court a great center of learning; thus by the year 800 English culture had developed so richly that it overflowed its insular boundaries.

그 다음 세대의 인물인 알쿠인(Alcuin, 735–804)은 폭넓은 교양을 갖춘 인물이었으며,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 황제와 우정을 나누고 그의 조언자가 되었다. 그는 샤를마뉴가 궁정을 학문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800년 경에는 잉글랜드 문화가 국경을 넘어서 퍼질 만큼 풍부하게 발전해 있었다.

데인족의 침입과 알프레드 대왕의 대응

In the ninth century the Christian Anglo-Saxons were themselves subjected to new Germanic invasions by the Danes who in their longboats repeatedly ravaged the coast, sacking Bede’s monastery among others. Such a raid late in the tenth century inspired The Battle of Maldon, the last of the Old English heroic poems.

9세기에 들어서자, 기독교화된 앵글로색슨족은 또 다른 게르만계 침략자인 데인족(Danes)의 공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들은 긴 배(longboat)를 타고 해안을 약탈했고, 베드가 속해 있던 수도원도 피해를 입었다. 10세기 후반의 이러한 침입은 고대 영어로 쓰인 마지막 영웅시인 『몰던 전투(The Battle of Maldon)』에 영감을 주었다.

The Danes also occupied the northern part of the island, threatening to overrun the rest. They were stopped by Alfred, king of the West Saxons from 871 to 899, who for a time united all the kingdoms of southern England.

데인족은 북부 지역을 점령하며 나머지 잉글랜드 전체로의 확장을 시도했다. 그러나 웨스트색슨 왕국의 알프레드 왕(Alfred the Great, 재위 871–899)에 의해 저지되었다. 그는 한때 남부의 모든 왕국을 통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알프레드 대왕의 문학 후원

This most active king was also an enthusiastic patron of literature. He himself translated various works from Latin, the most important of which was Boethius’s Consolation of Philosophy, a sixth-century Roman work also translated in the fourteenth century by Chaucer.

알프레드 대왕은 매우 활동적인 군주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열렬한 후원자이기도 했다. 그는 라틴어로 된 다양한 고전을 직접 번역하기도 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작품은 보에티우스(Boethius)의 『철학의 위안(Consolation of Philosophy)』이다. 이 책은 이후 14세기에 초서도 번역한 바 있다.

Alfred probably also instigated a translation of Bede’s History and the beginning of the Anglo-Saxon Chronicle: this year-by-year record in Old English of important events in England was maintained at one monastery until the middle of the twelfth century. Practically all of Old English poetry is preserved in copies made in the West Saxon dialect after the reign of Alfred.

그는 베드의 『영국민 교회사』와 『앵글로색슨 연대기(Anglo-Saxon Chronicle)』의 번역도 독려했는데, 후자는 잉글랜드의 주요 사건들을 해마다 고대 영어로 기록한 연대기로서, 한 수도원에서는 12세기 중반까지도 기록이 이어졌다. 현재 남아 있는 고대 영어 시편 대부분은 알프레드의 치세 이후 웨스트색슨 방언으로 필사된 것들이다.

 

4. 노튼 영문학 – 중세 수도원의 역할 : 출판 (enko.co.kr)

중세 영문학 – 앵글로색슨의 시 1 (enko.co.kr)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관련 영국 드라마: 라스트 킹덤

BBC Two – The Last Kingdom, Series 1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