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중세 영문학 – 앵글로색슨의 시 1

앵글로색슨의 시 1

Old English Poetry

1. 앵글로색슨의 시 – 구전시의 전통과 문자 기록의 시작

(The Oral Tradition and the Beginning of Written Records)

The Anglo-Saxon invaders brought with them a tradition of oral poetry (see “Bede and Caedmon’s Hymn,” p. 24). Because nothing was written down before the conversion to Christianity, we have only circumstantial evidence of what that poetry must have been like. Aside from a few short inscriptions on small artifacts, the earliest records in the English language are in manuscripts produced at monasteries and other religious establishments, beginning in the seventh century.

앵글로색슨족은 자신들의 구전시 전통을 영국으로 가져왔다.

(“베데와 캐드먼의 찬가” 참고, p.24)

하지만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기록으로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이 어떤 시를 읊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황적 증거만이 남아 있다. 몇 개의 짧은 문구가 작은 유물에 새겨져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영어로 된 최초의 문헌은 7세기부터 수도원이나 다른 종교 기관에서 제작된 필사본들이다.

2. 종교 중심의 문해력과 문학

(Literacy and Literature Centered on the Church)

Literacy was mainly restricted to servants of the church, and so it is natural that the bulk of Old English literature deals with religious subjects and is mostly drawn from Latin sources. Under the expensive conditions of manuscript production, few texts were written down that did not pertain directly to the work of the church. Most of Old English poetry is contained in just four manuscripts.

당시 글을 읽고 쓸 수 있었던 사람들은 대부분 교회에 소속된 성직자들이었기 때문에, 고대 영어 문학의 대부분은 종교적 주제를 다루며, 많은 내용이 라틴어 원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필사본 제작은 막대한 비용이 드는 일이었기 때문에, 교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텍스트는 거의 문서화되지 않았다. 실제로 고대 영어로 쓰인 시편 대부분은 오직 네 권의 필사본 속에만 보존되어 있다.

3. 영웅시와 당시 사건의 기록

(Heroic Poetry and the Commemoration of Events)

Germanic heroic poetry continued to be performed orally in alliterative verse and was at times used to describe current events. The Battle of Brunaburh, which celebrates an English victory over the Danes in traditional alliterative verse, is preserved in the Anglo-Saxon Chronicle. The Battle of Maldon commemorates a Viking victory in which the Christian English invoke the ancient code of honor that obliges a warrior to avenge his slain lord or to die beside him.

게르만족의 영웅 서사는 여전히 두운을 맞추는 운문 형식으로 구전되었으며, 때때로 당시의 역사적 사건들을 묘사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브루난버 전투(The Battle of Brunaburh)』는 데인족에 대한 영국의 승리를 전통적인 두운시 형식으로 찬양하고 있으며, 이는 『앵글로색슨 연대기(Anglo-Saxon Chronicle)』에 기록되어 있다.

반면 『말돈 전투(The Battle of Maldon)』는 바이킹의 승리를 다루고 있는데, 이 시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영국 병사들이 고대의 전사 명예 규범을 상기시키며, 전사란 살해당한 주군의 복수를 하거나 주군의 곁에서 함께 죽어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를 강조하고 있다.

 

4. 영웅적 가치와 기독교 이상 간의 유사성

The Similarity Between Heroic Values and Christian Ideals

These poems show that the aristocratic heroic and kinship values of Germanic society continued to inspire both clergy and laity in the Christian era. As represented in the relatively small body of Anglo-Saxon heroic poetry that survives, this world shares many characteristics with the heroic world described by Homer.

이런 시들은 게르만 사회가 지녔던 귀족적 영웅주의와 친족주의적 가치가 기독교 시대의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에게 계속 감화를 주었음을 보여준다. 현재까지 앵글로색슨 영웅시가 비교적 적은 분량으로 남아 있는 데서 알 수 있듯, 이 세계는 호머가 묘사한 영웅적 세계와 많은 점이 닮아 있다.

Nations are reckoned as groups of people related by kinship rather than by geographical areas, and kinship is the basis of the heroic code. The tribe is ruled by a chieftain who is called king, a word that has “kin” for its root. The lord (a word derived from Old English hlaf, “loaf,” plus weard, “protector”) surrounds himself with a band of retainers (many of them his blood kindred) who are members of his household. He leads his men in battle and rewards them with the spoils; royal generosity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heroic behavior. In return, the retainers are obligated to fight for their lord to the death, and if he is slain, to avenge him or die in the attempt. Blood vengeance is regarded as a sacred duty, and in poetry, everlasting shame awaits those who fail to observe it.

국가는는 지형적 범위보다는 혈연으로 연결된 이들의 집단으로 여겨졌고, 그 혈연은 영웅적 규울의 기본이 되었다. 부족은 족장이 통치했는데, “혈족(kin)”이라는 단어를 어원으로 하는 왕(king)으로 불렸다. 군주(Lord, 고대 영어의 half인 “빵덩어리(loaf)”와 weard인 “보호자(protector)”가 합쳐진 단어)는 왕실 식구들에서 몇몇을 뽑아 (대부분 혈족으로 구성) 자신의 가신으로 두었고 전쟁에서 이들을 통솔하고 전리품으로 이들에게 보상을 했다. 당시 왕의 관대함 (royal generosity)은 당시 영웅적 행위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였다. 대신 가신들은 군주를 위해 죽을 때까지 싸울 의무가 있었으며, 군주가 살해되면 복수를 하거나, 복수 중에 죽어야 했다. 피의 복수는 신성한 의무였다. 따라서 시에서는 이 의무를 지키는 데 실패한 자에게는 영원한 수치만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Even though the heroic world of poetry could be involved in rally resistance to the Viking invasions, it was already remote from the Christian world of Anglo-Saxon England. Nevertheless, Christian writers like the Beowulf poet were fascinated by the distant culture of their pagan ancestors and by the inherent conflict between the heroic code and a religion that teaches that we should “forgive those who trespass against us” and that “all they that take the sword shall perish with the sword.” The Beowulf poet looks back on that ancient world with admiration for the courage of which it was capable and at the same time with elegiac sympathy for its inevitable doom.

영웅적인 시의 세계는 바이킹의 침략에 계속 저항하는 내용을 담을 수도 있었지만,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기독교적 세계와는 이미 거리가 벌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어울프 Beowulf]와 같은 기독교 시인들은 이 머나먼 이교도 조상들의 낯선 문화에, 그리고 영웅적 규율과 “우리에게 잘못한 이를 우리가 용서해야 한다”와 “칼을 든 자는 그 칼로 망하리라”라는 기독교적 가르침 사이에 내재된 갈등에 매료되었다. 베어울프의 시인은 당시에 가질 수 있었던 용기에 대한 찬양, 이와 동시에 피할 수 없는 운명을 애잔하게 바라보며 이 고대 세계를 회상한다.

For Anglo-Saxon poetry, it is difficult and probably futile to draw a line between “heroic” and “Christian,” for the best poetry crosses that boundary. Much of the Christian poetry is also cast in the heroic mode: although the Anglo-Saxons adapted themselves readily to the ideals of Christianity, they did not do so without adapting Christianity to their own heroic ideal. Thus Moses and St. Andrew, Christ and God the Father are represented in the style of heroic verse. In the Dream of the Rood, the Cross speaks of Christ as “the young hero,,,, strong and stouthearted.” In Caedmon’s Hymn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is seen as a mighty deed, an “establishment of wonders.”

앵글로색슨 시에서는 “영웅”과 “기독교”적 성격 사이에 선을 긋는 것이 어려울뿐더러 무모한 짓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최고의 시들은 그 경계를 넘나들기 때문이다. 많은 기독교적 시들도 영웅적 기풍이 있었기 때문에, 앵글로 색슨인들은 기독교의 이상에 쉽게 적응했지만, 기독교를 자신들의 영웅적 이상에 적응시켜야만 기독교의 이상에 적응했다. 따라서 모세와 성 앤드류, 예수, 하느님 아버지는 영웅적 운문으로 표현되었다. 『십자가의 꿈 (the Dream of the Rood)』에서 십자가는 예수를 “강하고 결연한 젊은 영웅”으로 묘사한다. 캐드먼의 [찬가 Hymn]에서는 천지 창조가 “기이한 일의 실현(achievement of wonders)”인 강력한 행위로 표현된다.

Anglo-Saxon heroines, too, are portrayed in the heroic manner. St. Helena, who leads an expedition to the Holy Land to discover the true Cross, is described as a “battle-queen.” The biblical narrative related in the Anglo-Saxon poem Judith is recast in the terms of Germanic heroic poetry. Christian and heroic ideals are poignantly blended in the Wanderer, which laments the separation from one’s lord and kinsmen and the transience of all earthly treasures. Love between man and woman, as described by the female speaker of The Wife’s Lament, is disrupted by separation, exile, and the malice of kinfolk.

5. 여성 영웅과 서사적 애가

Heroic Women and Elegiac Tone

앵글로 색슨의 여성 주인공들도 영웅적 방식으로 묘사된다. 진정한 십자가를 찾기 위한 성지(Holy Land)로의 탐험을 이끈 성녀 헬레나는 “전투의 여왕 (battle-queen)”으로 묘사된다. 앵글로색슨의 시 유디트(Judith)와 관련된 성서적 이야기는 게르만적 영웅시의 용어로 재구성되었다. 군주와 친족과의 이별, 지상이 주는 보물이 덧없음을 한탄하는 [방랑자 (Wanderer)]에서는 기독교적 이상과 영웅적 이상이 신랄하게 섞여 있다. [아내의 애가(the Wife’s Lament)]의 여성 화자가 묘사한 남녀간의 사랑은 이별, 추방, 동족의 원한으로 방해받는다.

The world of Old English poetry is often elegiac. Men are said to be cheerful in the mead hall, but even there they think of war, of possible triumph but more possible failure. Romantic love – one of the principal topics of later literature – appears hardly at all. Even so, at some of the bleakest moments, the poets powerfully recall the return of spring. The blade of the magic sword with which Beowulf has killed Grendel’s mother in her sinister underwater lair begins to melt, “as ice melts / when the Father eases the fetters off the frost / and unravels the water ropes, He who wields power.”

고대 영어 시의 세계는 흔히 애가적이다.

남자들은 미드홀(mead hall, 술을 마시며 어울리는 연회장)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듯하지만, 그 순간에도 전쟁을 떠올리고, 승리의 가능성을 생각하면서도 더 자주 패배를 예상한다. 후대 문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낭만적 사랑은 거의 다뤄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들은 가장 암울한 순간에조차 봄의 귀환을 강렬하게 떠올린다. 예컨대 『베어울프』에서 베어울프가 음산한 호수 밑 은신처에 숨어 있던 그렌델의 어미를 죽였을 때 사용한 마법의 검은, “하느님이 서리의 족쇄를 풀고 물의 끈을 푸실 때처럼, 얼음이 녹듯이” 녹아내리기 시작한다.

6. 고대 영어 시의 시어와 수사기법

Poetic Diction and Figurative Language in Old English Verse

The poetic diction, formulaic phrases, and repetitions of parallel syntactic structure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versification, are difficult to reproduce in modern translation. A few features may be anticipated here and studied in the text of Caedmon’s Hymn, printed below (pp. 25-27) with interlinear translation.

작시법에서 비롯된 시어, 상투적인 구절, 병렬 구조의 반복 등은 현대어로 번역하기 어렵다.

이러한 특징들은 본문 뒤에 실린 캐드먼의 찬미가(Caedmon’s Hymn)의 원문과 행간 번역(pp. 25–27)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두운 운율을 직접 옮기지 않으면서도 시적인 표현과 반복구조 등을 살리려다 보면, 현대 산문 번역은 다소 어색해질 수밖에 없다.

Poetic language is created out of a special vocabulary that contains a multiplicity of terms for lord, warrior, spear, shield, and so on. Synecdoche (제유, 빵 없는 자유 등), and metonymy (환유) are common figures of speech as when “keel” is used for ship or “iron” for sword. A particularly striking effect is achieved by the kenning (완곡 대칭), a compound of two words in place of another as when sea becomes “whale-road” or body is called “life-house.” The figurative use of language finds playful expression in poetic riddles, of which about one hundred survive. Common (and sometimes uncommon) creatures, objects or phenomena are described in an enigmatic passage of alliterative verse (두운시), and the reader must guess their identity. Sometimes they are personified and ask, “What is my name?”

고대 영어 시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주군, 전사, 창, 방패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를 포함하는 특수한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용골(keel)’이 배를, ‘쇠(iron)’가 칼을 뜻하듯, 제유(synecdoche)와 환유(metonymy)는 흔하게 쓰이는 수사법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표현은 ‘켄닝(kenning)’이라 불리는 기법으로, 예를 들어 ‘고래의 길(whale-road)’이 바다를, ‘생명의 집(life-house)’이 몸을 의미하는 식이다. 이러한 비유적 언어는 시적 수수께끼(riddle) 속에서 장난스럽게 활용되기도 하는데, 약 100편 정도가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이 수수께끼들은 흔하거나 때로는 낯선 동물, 사물, 자연현상을 두운을 살린 시 형식으로 에둘러 묘사하며, 독자가 그 정체를 추측해야 한다. 어떤 수수께끼는 의인화되어 “내 이름이 무엇일까?”라고 묻기도 한다.

Because special vocabulary and compounds are among the chief poetic effects, the verse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as to show off such terms by creating a series of them in apposition. In the second sentence of Caedmon’s Hymn, for example, God is referred to five times appositively (동격으로) as “he,” “holy Creator,” “mankind’s Guardian,” eternal Lord,” and “Master Almighty.” This use of parallel and appositive expression, known as variation, gives the verse a highly structured and musical quality.

특수 어휘와 복합어가 고대 영어 시의 주요한 표현 수단이었기 때문에, 시는 이런 단어들을 병치해 강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곤 했다.

예컨대 캐드먼의 찬미가 두 번째 문장에서 신은 “그분,” “거룩한 창조주,” “인류의 수호자,” “영원하신 주님,” “전능하신 주님”으로 다섯 번 연이어 동격(apposition)으로 언급된다. 이렇게 병렬적이고 동격적인 표현을 반복하는 기법은 ‘변어(variation)’라 불리며, 시에 구조적인 일관성과 음악적인 운율을 더해준다.

The overall effect of the language is to formalize and elevate speech. Instead of being straightforward, it moves at a slow and stately pace with steady indirection. A favorite mode of this indirection is irony. A grim irony (음산한 반어법) pervades heroic poetry even at the level of diction where fighting is called “battle-play.” A favorite device, known by the rhetorical term litotes (완서법, 이중 부정을 통한 긍정문), is ironic understatement. After the monster Grendel has slaughtered the Danes in the great hall Heorot, it stands deserted. The poet observes, “It was easy then to meet with a man / shifting himself to a safer distance.”

고대 영어 시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전반적인 특징은 발화를 형식화하고 장엄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직설적인 방식보다는 느리고 장중하게, 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의미를 전한다. 이러한 간접성에서 특히 선호되는 방식은 아이러니다. 예를 들어 전투를 ‘전쟁놀이(battle-play)’라고 표현하는 데서 볼 수 있듯, 영웅시 전체에 음산한 반어법이 짙게 깔려 있다. 자주 쓰이는 또 다른 표현 기법은 ‘완서법(litotes)’으로, 이중 부정을 통해 긍정의 의미를 우회적으로 전달하는 반어적 수사다. 『베어울프』에서 괴물 그렌델이 데인족을 학살한 후, 헤오로트 회관은 텅 비게 되는데, 시인은 “그 후엔 안전한 거리로 물러나는 사람을 만나기는 쉬웠다”고 묘사한다.

More than a figure of thought, irony is also a mode of perception in Old English poetry. In a famous passage, a Wanderer articulates the theme of Ubi sunt?(where are they now?): “where has the horse gone? Where the young warrior? Where the giver of treasure?…” Beowulf is full of ironic balances and contrasts – between the aged Danish kings and the youthful Beowulf, and between Beowulf, the high-spirited young warrior at the beginning, and Beowulf, the gray-haired king at the end, facing the dragon and death.

이러한 아이러니는 단순한 수사 기법을 넘어, 고대 영어 시에서 세계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기능한다.

『방랑자(The Wanderer)』에서는 “말은 어디로 갔는가? 젊은 전사는 어디에 있는가? 보물을 베풀던 분은 어디로 갔는가?”라는 구절을 통해 ‘우비 순트(Ubi sunt?)’라는 주제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베어울프』 역시 아이러니가 가득한 대비로 구성되어 있다. 노쇠한 덴마크 왕들과 젊은 베어울프, 이야기의 시작에서 원기왕성하던 젊은 전사 베어울프와 마지막에 죽음을 앞두고 용과 싸우는 백발의 왕 베어울프 사이의 대조가 그러하다.

7. 언어 변화와 고대 영어 시의 보존

Language Change and the Preservation of Old English Poetry

The formal and dignified speech of Old English poetry was always distant from the everyday language of the Anglo-Saxons and this poetic idiom remained remarkably uniform throughout the roughly three hundred years that separate Caedmon’s Hymn from The Battle of Maldon. The clinging to old forms-grammatical and orthographic (딱딱하고 위엄있는, 직각의, 정자법의, 철자가 바른) as well as literary – by the Anglo-Saxon church and aristocracy conceals from us the enormous changes that were taking place in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diversity of its dialects. The dramatic changes between Old and Middle English did not happen overnight or over the course of a single century. The Normans displaced the English ruling class with their own barons and clerics (귀족과 성직자), whose native language was a dialect of Old French that we call Anglo0-Norman. Without a ruling literate class to preserve English traditions, the custom of transcribing vernacular texts (토착어) in an earlier form of the West-Saxon dialect was abandoned, and both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allowed to develop unchecked in new directions.

고대 영어 시의 격식을 갖춘 장중한 어법은 언제나 일상적인 앵글로색슨어와는 괴리되어 있었고, 캐드먼의 찬미가부터 『몰던 전투』에 이르는 약 300년 동안 놀라울 정도로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앵글로색슨의 교회와 귀족층이 문학적·문법적·철자적 옛 형식에 집착했기 때문에, 우리는 당시 영어가 겪고 있던 거대한 변화와 방언의 다양성을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 고대 프랑스어의 방언인 ‘앵글로-노르만어(Anglo-Norman)’를 사용하는 노르만인들이 잉글랜드의 지배층을 그들 자신의 귀족과 성직자로 대체하면서, 영어 전통을 유지하던 유식한 계층도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토착어로 된 문서를 웨스트색슨어 초기 형태로 필사하던 관습도 사라졌고, 언어와 문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제약 없이 변화해 나가게 되었다.

 

5. 앵글로색슨 문학 (enko.co.kr)

4. 노튼 영문학 – 중세 수도원의 역할 : 출판 (enko.co.kr)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