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만인의 정복과 언어적·문화적 변화
The Normans, who took possession of England after the decisive Battle of Hastings (1066), were, like the Anglo-Saxons, descendants of Germanic adventurers, who at the beginning of the tenth century had seized a wide part of northern France. Their name is actually a contraction of “Norsemen.” A highly adaptable people, they had adopted the French language of the land they had settled in and its Christian religion.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잉글랜드를 장악한 노르만인들은, 앵글로색슨족과 마찬가지로 게르만계 모험가들의 후손이었다. 이들은 10세기 초 북프랑스의 광범위한 지역을 점령한 집단이었으며, 그들의 명칭 ‘노르만(Norman)’은 실제로 ‘노르드인(Norsemen)’의 축약형이다. 이들은 매우 적응력이 뛰어난 민족으로, 자신들이 정착한 프랑스 지역의 언어인 프랑스어와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Both in Normandy and in Britain they were great builders of castles, with which they enforced their political dominance, and magnificent churches. Norman bishops, who held land and castles like the barons, wielded both political and spiritual authority. The earlier Norman kings of England, however, were often absentee rulers, as much concerned with defending their Continental possessions as with ruling over their English holdings.
노르망디와 영국 양쪽 모두에서, 이들은 정치적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성을 건설하고, 웅장한 교회를 세우는 데 열중했다. 노르만계 주교들은 영주들처럼 토지와 성을 소유했으며, 정치적 권력과 종교적 권위를 동시에 행사했다. 그러나 초기 노르만 왕들은 대부분 부재 통치자(absentee rulers)로, 잉글랜드를 직접 다스리는 것만큼이나 대륙의 영토를 방어하는 데에도 신경을 썼다.
1154년, 헨리 2세가 즉위하면서 잉글랜드 왕실의 프랑스 내 영토는 크게 확장되었다. 플랜태저넷 왕조의 첫 번째 군주였던 헨리 2세는 프랑스 왕 루이 7세의 이혼한 아내였던 아키텐의 엘레오노르(Eleanor of Aquitaine)와 결혼함으로써 프랑스 남서부의 광대한 영지를 손에 넣었다.
다언어 사회와 문학의 교류
The presence of a French-speaking ruling class in England created exceptional opportunities for linguistic and cultural exchange. Four languages coexisted in the realm of Anglo-Norman England: Latin, as it had been for Bede, remained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learnings, used for theology, science, and history. It was not by any means a written language only but also a lingua franca (국제어, 통용어) by which different nationalities communicated in the church and the newly founded universities.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배 계층이 잉글랜드에 존재하게 되면서, 언어적·문화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특별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앵글로-노르만 시기의 잉글랜드에는 네 가지 언어가 공존했다.
베다(Bede)의 시대처럼 라틴어는 여전히 신학, 과학, 역사 분야에서 사용되는 학문의 국제 공용어로 자리 잡고 있었다. 라틴어는 단지 문서상에서만 쓰인 언어가 아니었으며, 교회나 새롭게 설립된 대학들에서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는 데 사용되는 실제적인 통용어(lingua franca)였다.
The Norman aristocracy for the most part spoke French, but intermarriage with the native English nobility and the business of the daily life between masters and servants encouraged bilingualism. Different branches of the Celtic language groups were spoken in Scotland, Ireland, Wales, Cornwell, and Brittany.
노르만계 귀족들은 대부분 프랑스어를 사용했지만, 토착 잉글랜드 귀족들과의 혼인, 그리고 주인과 하인의 일상적 소통은 자연스럽게 이중언어 사용을 장려하게 되었다.
한편,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 콘월, 브르타뉴 등지에서는 켈트어 계통의 여러 방언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Inevitably, there was also literary intercourse among the different languages. The Latin Bible and Latin saint’s lives provided subjects for a great deal of Old English as well as Old French poetry and prose. The first medieval drama in the vernacular, the Play of Adam, with elaborate stage directions in Latin and realistic dialogue in the Anglo-Norman dialect of French, was probably produced in England during the twelfth century.
당연히 이러한 여러 언어들 사이에는 문학적인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라틴어 성경과 성인(聖人) 전기는 고대 영어와 고대 프랑스어로 된 수많은 시와 산문에 주제와 소재를 제공했다. 중세 최초의 토착어 연극인 *아담의 연극(Play of Adam)*은 정교한 라틴어 무대 지시문과 앵글로-노르만 프랑스어 방언으로 쓰인 현실적인 대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12세기 중엽쯤 잉글랜드에서 상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로망스 문학의 출현과 발전
The Anglo-Norman aristocracy was especially attracted to a Celtic legends and tales that had been circulating orally for centuries. The twelfth-century poets Thomas of England, Marie de France and Chretien de Troyes each claim to have obtained their narratives from Breton storytellers, who were probably bilingual performers of native tales for French audiences.
앵글로-노르만 귀족 계층은 특히 켈트 전설과 이야기들에 강한 매력을 느꼈다. 이들 전설은 수세기 동안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온 것이었다. 12세기의 시인 토마스 오브 잉글랜드(Thomas of England), 마리 드 프랑스(Marie de France), 크레티앵 드 트루아(Chrétien de Troyes)는 모두 자신들의 이야기를 브르타뉴(Breton) 이야기꾼들로부터 들었다고 주장했다. 이 브르타뉴 이야기꾼들은 아마도 프랑스 청중을 위해 토착 전설을 연기하던 이중언어 구사자였을 것이다.
“Breton” may indicate that they came from Brittany, or it may have been a genetic term for a Celtic bard (시인). Marie speaks respectfully of the storytellers, while Thomas expresses caution about their tendency to vary narratives: Chretien accuses them of marring their material, which, he boasts, he has retold with an elegant fusion of form and meaning.
여기서 ‘브르타뉴인(Breton)’이라는 말은 이들이 브르타뉴 지방 출신이라는 의미일 수도 있고, 혹은 켈트 전통의 음유시인(bard)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을 수도 있다. 마리는 이 이야기꾼들을 공손하게 존중하는 태도로 언급하며, 반면 토마스는 이들이 이야기를 자주 바꾸는 경향에 대해 조심스럽게 지적한다. 크레티앵은 그들 때문에 이야기의 질이 훼손되었다고 비판하면서, 자신은 형식과 의미를 세련되게 융합하여 새롭게 재구성했다고 자부한다.
Marie wrote a series of short romances, which she refers to as “lays” originally told by Bretons. Her versions are the most original and sophisticated examples of the genre that came to be known as the Breton lay, represented here by Marie’s Lanval and Chevrefoil. It is very likely that Henry II is the “noble King” to whom she dedicated her lays and that they were written for his court.
마리 드 프랑스는 짧은 이야기체 시들(“레이(lays)”)을 여러 편 썼으며, 이들 작품은 원래 브르타뉴인들이 들려주던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녀의 레이들은 이 장르, 즉 ‘브르타뉴 레이(Breton lay)’라 불리게 된 문학 유형 가운데 가장 독창적이고 세련된 사례로 평가된다. 이 장르의 대표작으로는 마리의 「랑발(Lanval)」과 「췌브르푀이유(Chevrefoil)」가 있다. 마리가 자신의 레이들을 바친 “고귀한 왕(noble King)”은 헨리 2세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 작품들은 그의 궁정을 위해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Thomas composed a moving, almost operatic version of the adulterous passion of Tristan and Isolt, very different from the powerful version of the same story by Beroul, also composed in the last half of the twelfth century.
토마스는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and Isolt)』의 간통적 열정을 다룬 이야기를 감성적이고 거의 오페라에 가까운 분위기로 재구성했는데, 이 작품은 같은 시기인 12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베룰(Beroul)의 강렬한 버전과는 매우 다르다.
Chretien is the principal creator of the romance of chivalry in which knightly adventures are a means of exploring psychological and ethical dilemmas that the knights must solve, in addition to displaying material prowess in saving ladies from monsters, giants, and wicked knights. Chretien, like Marie, is thought to have spent time in England at the court of Henry II.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기사들의 모험담을 통해 심리적·윤리적 딜레마를 탐구하는 방식을 확립한 ‘기사도 로망스(chivalric romance)’의 주창자라 할 수 있다. 그의 이야기 속에서 기사들은 단순히 괴물, 거인, 악한 기사들로부터 숙녀를 구해내는 무력적 영웅성뿐 아니라, 내면의 갈등과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를 함께 짊어진다.
마리 드 프랑스처럼, 크레티앵 역시 헨리 2세의 궁정에서 일정 기간을 보내며 활동한 것으로 여겨진다.
Thomas, Marie, and Chretien de Troyes were innovators of the genre that has become known as ‘romance.” The word roman was initially applied in French to a work written in the French vernacular. Thus the thirteenth-century Roman de Troie is a long poem about the Trojan War in French.
토마스, 마리,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훗날 ‘로망스(romance)’라 불리게 된 문학 장르의 개척자들이었다.
원래 ‘로망(roman)’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로 된 작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특히 프랑스어 구어체(vernacular)로 쓰인 글을 의미했다. 예를 들어, 13세기의 트로이 이야기(Roman de Troie)는 트로이 전쟁을 주제로 한 프랑스어 장편 서사시다.
While this work deals mainly with the siege of Troy, it also includes stories about the love of Troilus for Cressida and of Achilles for the Trojan princess Polyxena. Eventually, “romance” acquired the genetic associations it has for us as a story about love and adventure.
이 작품은 주로 트로이 포위전(siege of Troy)을 다루지만, 그 안에는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Troilus and Cressida)의 사랑 이야기, 아킬레우스와 트로이 공주 폴릭세나(Achilles and Polyxena)의 로맨스 등도 포함되어 있다.
결국 ‘로망스’는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것처럼 사랑과 모험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라는 장르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사랑과 내면의 세계: 로망스의 심화
Romance was the principal narrative genre for late medieval readers.
Insofar as it was centrally concerned with love, it developed ways of representing psychological interiority with great subtlety. That subtlety itself provoked a sub-genre of questions about love. Thus in the late twelfth century, Andreas Capellanus (Andrew and the Chaplain) wrote a Latin treatise, the title of which may be translated The Art of Loving Correctly.
로망스는 중세 후기에 가장 중심적인 서사 장르였다.
이 장르가 본질적으로 사랑을 중심 주제로 삼았던 만큼, 섬세하게 인간의 내면 심리를 표현하는 방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표현의 섬세함은 곧 사랑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다루는 하위 장르를 낳았다. 예컨대 12세기 후반, 안드레아스 카펠라누스(Andreas Capellanus, ‘앤드루와 성직자’로도 알려짐)는 라틴어로 “올바르게 사랑하는 기술(The Art of Loving Correctly)”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집필했다.
In one part, Eleanor of Aquitaine, her daughter, the countess Marie de Champagne, and other noble women are cited as a supreme court rendering decisions on difficult questions of love – for example, whether there is greater passion between lovers or between married couples.
이 책의 일부에는 아키텐의 엘레노어, 그녀의 딸인 샹파뉴 백작부인 마리, 그리고 다른 귀족 여성들이 ‘사랑의 문제’에 대한 판결을 내리는 최고의 법정으로 언급된다. 예를 들어, 연인 간의 사랑이 더 열정적인가, 아니면 부부 간의 사랑이 더 깊은가와 같은 문제가 다뤄진다.
Whether such “courts of love” were purely imaginary or whether they represent some actual court entertainment, they imply that the literary taste and judgment of women had a significant role in fostering the rise of romance in France and Anglo-Norman England.
이러한 ‘사랑의 법정(courts of love)’이 실제로 존재했던 것인지, 혹은 상상 속 궁정 놀이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어도 이 개념은 프랑스와 앵글로-노르만 잉글랜드에서 로망스 문학의 발전에 있어 여성들의 문학적 취향과 판단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아서 왕 전설과 문학적 재구성
In Marie’s Lanval and in Chretien’s romances, the court of King Arthur had already acquired for French audiences a reputation as the most famous center of chivalry. That eminence is owing in large measure to a remarkable book in Latin, 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completed by Geoffrey of Monmouth, ca. 1136-38. Geoffrey claimed to have based his “history” on a book in the British tongue (Welsh), but no one has ever found such a book. He drew on a few earlier Latin chronicles, but the bulk of his history was probably fabricated from Celtic oral tradition, his familiarity with Roman history and literature, and his own fertile imagination.
마리 드 프랑스의 『랑발(Lanval)』과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로망스 작품들 속에서, 아서 왕의 궁정은 이미 프랑스 독자들에게 기사도의 최고 중심지로서 명성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명성은 무엇보다도 제프리 오브 몽머스(Geoffrey of Monmouth)가 1136년에서 1138년경에 완성한 라틴어 저서 『브리타니아 열왕사(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덕분이었다. 제프리는 이 “역사서”가 고대 브리튼 언어(즉 웨일스어)로 된 책을 바탕으로 했다고 주장했지만, 그런 책은 아무도 발견한 적이 없다. 그는 몇몇 초기 라틴 연대기에서 일부 내용을 가져오긴 했지만, 전체 내용의 대부분은 켈트계 구전 전통과 로마 역사 및 문학에 대한 그의 지식, 그리고 그의 풍부한 상상력에서 창조해낸 것으로 보인다.
The climax of the book is the reign of King Arthur, who defeats the Roman armies but is forced to turn back to Britain to counter the treachery of his nephew Mordred. In 1135, Geoffrey’s Latin was rendered into French rhyme by an Anglo-Norman poet called Wace, and fifty or so years later Wace’s poem was turned by Layamon, an English priest, into a much longer poem that combines English alliterative verse with sporadic rhyme.
이 책의 절정은 아서 왕의 통치 시기로, 아서가 로마 군대를 물리치지만, 조카 모르드레드의 배신을 막기 위해 다시 브리튼으로 돌아가야 하는 이야기다. 1135년경, 이 라틴어 저서는 앵글로-노르만 시인 와이스(Wace)에 의해 프랑스어 운문으로 번역되었고, 약 50여 년 뒤에는 영국 성직자 라이아몬(Layamon)이 이를 훨씬 장문의 시로 다시 재구성했다. 라이아몬의 작품은 영어의 두운 운문(alliterative verse)과 간헐적인 압운(rhyme)을 결합한 형태였다.
프랑스어를 통한 영어 문학의 수용
Layamon’s work is one of many instances where English receives new material directly through French sources, which may be drawn from Celtic or Latin sources. There are two Middle English versions of Marie’s Lanval, and the English romance called Yvain and Gawain is a cruder version of Chretien’s Le Chevalier au Lion (The Knight of the Lion).
라이아몬의 작품은 영어가 프랑스어를 통해 새로운 문학적 소재를 직접 받아들인 수많은 사례 중 하나이다. 이 프랑스어 원천들은 종종 켈트어 혹은 라틴어 전통에서 기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리 드 프랑스의 『랑발(Lanval)』에는 중세 영어로 된 두 가지 판본이 전해지며, 『이베인과 거웨인(Yvain and Gawain)』이라 불리는 중세 영어 로망스는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사자 기사(Le Chevalier au Lion)』를 보다 거칠고 단순화한 버전이다.
There is a marvelous English lay, Sir Orfeo, a version of the Orpheus story in which Orpheus succeeds in rescuing his wife from the other world, for which a French original, if there was one, has never been found. Romance, stripped of its courtly, psychological and ethical subtleties, had an immense popular appeal for English readers and listeners.
특히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오르페오 경(Sir Orfeo)』이 있다. 이 작품은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 이야기의 영어 버전인데, 오르페오가 저승 세계에서 아내를 성공적으로 구해낸다는 희망적인 결말을 담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 작품의 프랑스어 원본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까지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궁정적이거나 심리적·윤리적으로 섬세한 측면이 제거된 로망스 문학은, 오히려 대중 독자와 청중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Many of these romances are simplified adaptations of more aristocratic French poems and recount in a rollicking and rambling style that adventures of heroes like Guy of Warwick, a poor steward who must prove his knightly worth, to win the love of Fair Phyllis. The ethos of many romances, aristocratic and popular alike, involves a knight proving his worthiness through nobility of character and brave deeds rather than through high birth.
이들 작품은 귀족층을 대상으로 한 프랑스 서사시를 보다 간소화한 형태로 각색한 경우가 많았으며, 거칠고 유쾌한 어조로 영웅들의 모험담을 풀어낸다. 예를 들어 『가이 오브 워릭(Guy of Warwick)』 같은 이야기에서는 가난한 시종이 용맹과 고결한 인격을 통해 기사의 자격을 증명하고, 아름다운 귀부인 필리스를 차지하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이러한 로망스들—귀족 취향이든 대중적이든—의 중심 정신은 ‘출신 성분’보다는 ‘성품의 고결함’과 ‘용맹한 행동’을 통해 기사의 가치를 입증하는 데 있다.
In this respect romances reflect the aspirations of a lower order of the nobility to rise in the world, as historically some of these nobles did. William the Marshall, for example, the fourth son of a baron of middle rank, used his talents in war and in tournaments to become tutor to the oldest son of Henry II and Eleanor of Aquitaine. He married a great heiress and became one of the most powerful nobles in England and the subject of a verse biography in French, which often reads like a romance.
이런 점에서 로망스 문학은, 당시 하급 귀족들이 상류 사회로의 상승을 꿈꾸던 현실적인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실제로 그런 성공을 거둔 인물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윌리엄 마셜(Wiliam the Marshall)은 중급 귀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지만, 전쟁과 토너먼트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여 헨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노어의 장남을 가르치는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그는 훌륭한 상속녀와 결혼하여 잉글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귀족 중 한 명으로 성장했고, 그의 삶은 프랑스어로 된 운문 전기 작품의 주인공이 되었는데, 이 전기는 로망스처럼 읽히는 문학적 특색을 지닌다.
프랑스어 영향 외의 중세 영어 문학
Of course, not all writing in Early Middle English depends on French sources or intermediaries. The Anglo-Saxon Chronicle continued to be written at the monastery of Peterborough. It is an invaluable witness for the changes taking place in the English language and allows us to see Norman rule from the English point of view.
물론 초기 중세 영어 문학이 모두 프랑스어 자료나 중간 매개를 통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앵글로색슨 연대기(The Anglo-Saxon Chronicle)』는 노르만 정복 이후에도 피터버러(Peterborough) 수도원에서 계속해서 작성되었다. 이 연대기는 영어의 변화 과정을 생생히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일 뿐 아니라, 노르만 지배를 ‘영국인의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는 드문 기록이기도 하다.
The Owl and the Nightingale (late twelfth century) is a witty and entertaining poem in which these two female birds engage in a fierce debate about the benefits their singing brings to humankind. The owl grimly reminds her rival of the sinfulness of the human condition, which her mournful song is intended to amend; the nightingale sings about the pleasures of life and love when lord and lady are in bed together.
『부엉이와 꾀꼬리(The Owl and the Nightingale)』(12세기 후반 작)는 재치 있고 흥미로운 시로, 두 암컷 새가 등장해 자신들의 노래가 인간에게 주는 유익함에 대해 열띤 논쟁을 벌인다.
부엉이는 꾀꼬리에게 인간 존재가 얼마나 죄 많은가를 엄숙하게 상기시키며, 자신의 애도하는 노래는 그 죄악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꾀꼬리는 영주와 귀부인이 함께 잠자리에 들 때 느끼는 인생과 사랑의 기쁨을 노래하며, 삶의 쾌락을 찬양한다.
The poet, who was certainly a cleric, is well aware of the fashionable new romance literature; he specifically has the nightingale allude to Marie de France’s lay Lausic, the Breton word, she says, for “Rossignol” in French and ‘Nightingale” in English. The poet does not side with either bird; rather he has amusingly created the sort of dialectic between the discourses of religion and romance that is carried on throughout medieval literature.
이 작품의 시인은 명백히 성직자로 보이며, 당시 유행하던 로망스 문학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그는 꾀꼬리의 입을 빌려 마리 드 프랑스의 레이 『로지크(Laüstic)』를 직접 언급하게 한다.
꾀꼬리는 ‘Laüstic’이 브르타뉴어로 ‘로시뇰(Rossignol, 프랑스어 꾀꼬리)’이며, 영어로는 ‘나이팅게일(Nightingale)’이라고 설명한다. 시인은 어느 쪽 편도 들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종교의 담론과 로망스의 담론 사이에 존재하는 중세 문학 전반의 ‘대화적 갈등(dialectic conflict)’을 재치 있게 구현하고 있다.
여성 독자를 위한 중세 종교 문학: 캐서린 그룹
There is also a body of Early Middle English religious prose aimed at women. Three saints’ lives celebrate the heroic combats of virgin martyrs who suffer dismemberment and death; a tract entitled Holy Maidenhead paints the woes of marriage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usband, as in standard medieval antifeminist writings, but from that of the wife.
초기 중세 영어 시대에는 여성 독자를 겨냥한 종교 산문 문학도 존재했다.
세 명의 성녀 전기를 담은 작품들은 처절한 고통과 죽음을 감수하며 신앙을 지킨 순결한 여성 순교자들의 영웅적 투쟁을 찬양한다.
또한 『거룩한 처녀성(Holy Maidenhead)』이라는 소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중세 반(反)여성 문헌이 남성의 관점에서 결혼을 비난했던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여성, 즉 아내의 관점에서 결혼 생활의 고통을 그린다.
Related to these texts, named the Katherine Group after one of the virgin martyrs, is a religious work also written for women but in a very different spirit.
『앵커라의 규범(Ancrene Riwle / Ancrene Wisse)』
The Ancrene Riwle (Anchoresses’ Rule), or Ancrene Wisse (Anchoresses’ guide) as it is called in another manuscript, is one of the finest works of English religious prose in any period. It is a manual of instruction written at the request of three sisters who have chosen to live as religious recluses.
이러한 작품들과 관련된 일련의 종교 문헌들을 ‘캐서린 그룹(Katherine Group)’이라 부른다. 이는 이 그룹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인 순교 성녀 캐서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이와 관련된 또 하나의 중요한 작품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앵커라의 규범(Ancrene Riwle, 또는 Ancrene Wisse)』이다. 이는 같은 주제(여성을 위한 종교 생활)를 다루면서도 전혀 다른 정서와 깊이를 지닌 작품이다.
『앵커라의 규범』은 중세 영어 산문 전통 전체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종교 문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종교적 은수자로 살기로 결심한 세 자매의 요청에 따라 쓰인 영적 지침서(수도 규범서)이다.
The author, who may have been their personal confessor, addresses them with affection, and, at times, with kindness and humor. He is also profoundly serious in his analyses of sin, penance, and love. In the selection included here from his chapter on love, he, too, tells a tale of romance in a strikingly different way.
저자는 아마도 이 자매들의 개인 고해신부였을 가능성이 크며, 독자인 그녀들에게 애정 어린 말투로, 때로는 자상하고 유머러스하게 말을 건넨다.
그러면서도 죄, 속죄, 사랑에 대한 분석에서는 매우 진지하고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