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 조르다 영어로 | 상황별 영어표현 5가지 (beg non-stop, pester, nag, keep asking, whine)
한국어의 조르다는 상황에 따라 “계속 부탁하다, 성가시게 굴다, 칭얼거리다” 등 여러 뉘앙스로 쓰입니다.
👉 그렇다면 조르다 영어로는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영어에서는 한 단어로 모든 상황을 설명하기보다는, 상황과 뉘앙스에 따라 다른 표현을 사용합니다.
👉 그래서 오늘은 조르다 영어로 표현하는 다섯 가지 대표적인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각 표현마다 예문을 통해 실제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1. Beg Someone Non-stop (끊임없이 졸라대다)
Beg는 “간청하다, 애원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기본 단어입니다. 여기에 non-stop을 붙이면 “계속해서, 끊임없이”라는 뉘앙스가 더해집니다.
My daughter begged me non-stop for a new smartphone.
👉 딸아이가 새 스마트폰 사 달라고 계속 졸랐다.He’s been begging us non-stop to get a puppy.
👉 강아지 키우자고 우리한테 계속 조르고 있다.The kids begged their parents non-stop to take them to the amusement park.
👉 아이들이 놀이공원에 데려가 달라고 부모님께 계속 조르다.
👉 주로 아이들이 간절히 원할 때 쓰는 표현으로, 부모-자녀 대화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2. Pester Someone (성가시게 조르다)
Pester는 단순한 부탁이 아니라, 상대방을 귀찮게 하고 성가시게 하는 느낌을 줍니다.
The kids kept pestering their mom for ice cream.
👉 아이들이 엄마한테 아이스크림 사 달라고 계속 졸랐다.Don’t pester your brother while he’s studying.
👉 네 동생 공부하는데 귀찮게 하지 마.Reporters pestered the celebrity with endless questions.
👉 기자들이 끝없는 질문으로 그 연예인을 귀찮게 했다.
👉 “계속 귀찮게 굴다”는 뉘앙스를 줄 때 적합합니다.
3. Nag at Someone (잔소리하며 조르다)
Nag는 보통 부모나 배우자가 상대방에게 반복적으로 잔소리하는 상황에 많이 쓰입니다.
He nagged at his parents until they gave in.
👉 그는 부모님이 결국 들어줄 때까지 졸라댔다.Stop nagging at me about my homework!
👉 내 숙제 가지고 그만 잔소리 좀 해!She kept nagging at her husband to fix the broken sink.
👉 그녀는 남편에게 싱크대를 고치라고 계속 잔소리했다.
👉 “잔소리+조르다”라는 의미가 강해서,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4. Keep Asking (계속 부탁하다)
더 가볍고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keep asking이 있습니다. 부담 없이 계속 요구한다는 뜻입니다.
She kept asking me to buy her a new doll.
👉 그녀는 새 인형 사 달라고 계속 졸랐다.They keep asking over and over for a class trip.
👉 그들은 소풍 가자고 계속 요청하고 있다.My friend keeps asking me for help with his homework.
👉 내 친구가 숙제 도와 달라고 계속 부탁한다.
👉 가벼운 뉘앙스라서 일상 대화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습니다.
5. Whine for Something (징징대며 조르다)
Whine은 아이들이 징징대며 칭얼거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목소리 톤까지 떠올릴 수 있는 생생한 단어예요.
The little boy whined for candy at the store.
👉 꼬마가 가게에서 사탕 사달라고 징징댔다.Stop whining for toys every time we go shopping.
👉 쇼핑 갈 때마다 장난감 사 달라고 징징대지 마.She whined for attention all evening.
👉 그녀는 저녁 내내 관심을 끌려고 징징댔다.
👉 주로 어린아이의 투정이나 칭얼거림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Conclusion
정리하면, 한국어의 “조르다”는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beg non-stop – 끊임없이 애원하다
pester someone – 성가시게 조르다
nag at someone – 잔소리하며 졸라대다
keep asking – 계속 부탁하다
whine for something – 징징대며 조르다
👉 실제로 영어에서는 맥락에 맞는 단어를 고르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걸 계속 말할 땐 beg non-stop이나 whine, 성가시게 굴 때는 pester, 부모가 잔소리하며 조를 때는 nag, 가볍게 반복할 땐 keep asking을 쓰면 됩니다.
또한 영어 학습자라면 한 단어만 외우지 말고, 상황별로 다른 표현을 익혀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실제 대화에서 더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죠.
👉 다음에 아이가 장난감을 사 달라 조를 때, 혹은 친구가 계속 부탁할 때, 오늘 배운 다섯 가지 표현 중 상황에 맞는 것을 골라 써보세요. 그러면 “조르다 영어로 뭐라고 하지?”라는 고민이 사라질 것입니다.
영어회화 EBS 입트영 0911, 반려동물 앵.. : 네이버블로그
5 Ways Daily English Check-ins Build Study Group Accountability